1. 서버 가상화
클라우드, 가상화?
1.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 용어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다...
- "클라우드"라는 낱말은 일반적으로 과학에서 구름처럼 먼 거리에서 시각적으로 보이는 물건들의 커다란 집합체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어진 문맥에서 세세한 부분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는 물건들의 집합을 기술 한다.
- 인터넷의 비유로서 사용되었으며 구름과 같은 표준화된 모양은 전화 도식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나중에 컴퓨터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인터넷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 되었다. - 위키 백과
2. 특징
- 기술 인프라 자원들의 재보충, 추가, 확장에 대한 사용자의 유연성을 제고
- 비용 절감?
- 장치 및 위치 독립성, 언제, 어디서든, 어떠한 시스템에서든
- 쉬운 유지 보수
- 멀티테넌시 - 자원과 비용 공유
- 여러 사용자가 동일 데이터를 동시 작업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
3. 서비스 모델
1) IaaS
-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 즉 가상 머신과 기타 자원들을 구독자에 대한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 물리적 컴퓨팅 자원, 데이터 파티셔닝, 확장, 보안, 백업과 같은 세부 부문 포함.
- IaaS 클라우드 제공자들은 요청이 오면 이러한 자원을 데이터 센터에 설치된 수많은 장비를 통해 제공.
2) PaaS
-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개발 환경 제공. 개발을 위한 툴킷과 표준, 배포 및 지불을 위한 채널을 개발. 제공자들은 운영체제, 프로그래밍언어 실행 환경, DB, 웹 서버를 포함한 컴퓨팅 플랫폼을 배급.
3) SaaS
- 응용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짐. 제공자들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인프라 스트럭처와 플랫폼을 관리. 가격 정책은 일반적으로 종량제나 구독 기반. 제공자들은 클라우드에 응용 소프크웨어를 설치, 운영하며 사용자들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접근하여 사용..
가상화 기술
- 하드웨어가 발전함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 하나의 운영체제와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만으로는 모든 자원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용하게 되었으나 응용 프로그램들 간의 충돌 등의 문제. 하드웨어의 성능 향상과 운영 체제에 대한 시장의 요구에 의해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나누어서 서로 간섭받지 않는 공간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
- 가상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사이에 소프트웨어 기술이 자리잡고, 하드웨어를 논리적으로 나눠서 운영체제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과 나누어진 공간 안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다른 운영체제가 같은 하드웨어 안에 논리적으로 구분된 다른 공간에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없도록 보안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 등장.
- 추상화: 외부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는 본인의 운영체제가 실제 하드웨어에 설치된 운영체제인지, 가상화 환경에 설치된 운영체제인지 구분할 수 없음. 하드웨어에 추상화 기술을 적용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부하가 증가하는 운영체제에 대해 프로세서/메모리에 대한 증가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
- '클라우드' = 모든 IT기술들이 잘 연계되어 서비스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 서비스이며 하드웨어부터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그리고 잘 만들어진 자동화/프로세스까지 해당.
- Private/Public 클라우드, Hybrid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