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JUNOS Architecture - 네전따
JUNOS Architecture
1. Juniper Router/Switch 시작 시 동작
- Starting Routing Engine
- Starting Packet Forwarding Engine
- Starting PICs
- FPC LED: 테스트 중일 때 녹색 깜빡임, 테스트가 종료되면 녹색 불이 들어 옴.
- 문제 발생 시 Alarm LED에 불이 들어옴.
2. 부팅 장치와 미디어
1) Removable media
- install과 upgrade시 사용, 보통은 비어 있음
- M40 router: LS-120 Floopy drive
- 나머지: 110-MB PCMCIA flash card
2) Flash drive
- JUNOS Software 저장
- Booting 소프트웨어의 첫 번째 저장 공간
3) Hard drive
- JUNOS Software backup 저장
- Booting 소프트웨어의 두 번째 저장 공간
- System log files, dump file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
3. 초기 설정
- Root 로그인
- CLI 시작 : root@% cli => root> / root>configure => root#
- root 패스워드 설정
root#set system root-authentication plain-text-password (텟스트형태 패스워드)
root#set system root-authentication encrypted-password (암호화된 패스워드)
- 이름 설정 : root#set system host-name [호스트이름 ]
- 관리용 IP 설정 : root#set interfaces fxp0 unit 0 family inet address x.x.x.x/x
(MGMT Port name : 라우터 fxp0, 스위치 me0)
- remote 접속 설정 : root# set system services [ssh,telnet,web-management http]
- 사용자 계정 설정 : root#set system login user [이름] uid [User ID 설정] class [user권한 설정] authentication plain-text-password
- Time 설정 : 'set date YYYYMMDDhhmm.ss'
Operation mode에서 root@aa>set date YYYYMMDDhhmm.ss
time-zone 설정 : root#set system time-zone Asia/Seoul
NTP설정 : root#set system ntp server x.x.x.x
4.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 설치
- factory에서 설치되는 것 : Flash drive, Hard drive, Removable LS-120 floppy or PCMCIA flash card
- flash drive가 고장 나더라도 hard drive나 removable media를 통해 부팅 가능.
- 업그레이드: 인터넷이나 removable media를 통해 사용 가능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1) 소프트웨어 패키징
- jkernel: Operating system
- jbase: Operation system 에 추가적인 내용
- jroute: Routing Engine 소프트 웨어
- jpfe: Packet Frowarding Engine 소프트웨어
- jdocs: On-line 문서
- jcrypto: 보안 소프트웨어 (미국 내 소프트웨어엔 한함)
- jbundle: 모든 업그레이드 패키지 포함
> 'show system software'
- jinstall : operation system 업데이트가 포함됨.
- 패키지 명명법 : package-m.nZnumber.tgz (m.n는 major 버전 번호, Z는 유일한 대문자 - A:Alpha,B:Beta,R:Release,I-Internal), number는 release번호 로 해당 release에 대한 build 번호를 갖는다.
ex) jbundle-6.0R1.5-domestic-signed.tgz / jinstall-ex-9.3R1.7-domestic-signed.tgz
- bundle 패키지 설치 : root>request system software add [new-package-name] reboot
- 현재 사용되는 configuration이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적절할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
(소프트웨어 다운그레이드 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설정 확인)
> request system software add [package-name] validate
> request system software validate [package-name]
5. 로그와 추적정보 모니터링
모니터링 할 때
- 실시간으로 로그 정보를 보려면 'monitor'라는 CLI 명령어 사용
host>monitor (start | stop) [filenames] ex) monitor start monitortraffic.txt (취소할 때 까지)
- 모든 모니터링 취소 : host>monitor stop
- 로그 파일 내용 삭제 : host>clear log [filename] ex) clear log monitortraffic.txt
- 파일 자체를 삭제 : host>file delete [filename] ex) file delete monitortraffic.txt
6. 파일 시스템 개요
1) 중요 디렉토리와 파일 위치
- /: root 파일 시스템 : 보통 compact flash에 위치
- /config : 실행중인 configuration(juniper.conf)과 첫 번째 3개의 rollback 파일 - 보통 compact flash 위치
- /altroot와 /altconfig:snapshot동작에 의해 만들어지는 /와 /config 파일 시스템에 대한 대체 파일 시스템 - 보통
hard disk에 위치하나 compact flash에 위치할 수 있음.
- /var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그파일,임시저장장치 - /var파일 시스템은 hard drive에 마운트.
* /var/db/config : 4-49까지의 rollback 파일 저장
* /var/home : root가 아닌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 /var/log : 시스템 로그 파일
* /var/tmp : 여러가지 임시 파일의 저장 위치로 여기에는 core dump와 JUNOS 소프트웨어 패키징 저장.
* /var/sw/pkg/ : 소프트웨어 rollback 동작을 위해 성공적으로 설치된 패키지들에 대한 저장 공간.
7. 표준 인터페이스
1) 인터페이스 위치
- 인터페이스(interface)는 PIC(module)에 포함
- PIC는 FPC(Slot)에 연결: FPC는 2개 또는 4개의 PIC을 수용
- FPC는 chassis에 연결
2) 표준 인터페이스 명명법
- 인터페이스의 이름은 모든 인터페이스에 공통적으로 아래 내용을 기초.
- 인터페이스 미디어 타입 / FPC 슬롯번호 / FPC안에서의 PIC의 슬롯 번호 / PIC 포트 번호
3) 인터페이스 미디어 타입
- 미디어 타입 : at-ATM over SONET/SDH포트: atm
- e1: E1포트 / e3: E3포트 / fe: FastEthernet 포트 : fa / so :SONET/SDH 포트 / t1: T1포트
t3: DS-3포트 / ge: Gigabit Ethernet 포트 - gi / ae: Aggregated Ethernet 포트: port channel
4) FPC와 PIC 슬롯 번호
- 인터페이스 이름: 물리적
so(Midium/인터페이스 타입)-5(FPC슬롯)/2(PIC슬롯)/3(포트번호) / so-5/2/3
8. 인터페이스 설정
1) 물리적 속성 (ether-option command)
- speed, duplex, MTU 등 조정
root#set interfaces ge-0/0/1 ether-options no-auto-negotiation
root#set interfaces ge-0/0/1 ether-options link-mode full-duplex
root#set interfaces ge-0/0/1 ether-options speed 1g
2) 논리적 속성 - L2, L3 에서의 논리적인 부분 설정(unit command)
- Port mode (access, trunk), VLAN(Vlan member ship), IP Address, L2,L3 logical interface setting
root#set interfaces ge-0/0/1 unit 0 family ethernet-switching port-mode access
root#set interfaces ge-0/0/1 unit 0 family ethernet-switching port-mode vlan members vlan 10
root#set interfaces ge-/0/0/1 unit 0 family inet address x.x.x.x/y
3) Disabling & Deactivating
- Inactive 추가 : statement에 tag추가, 실질적으로 configuration에서 statement나 identifier를 주석 처리.
host#deactivate ge-0/0/1 (host#show => inactive: ge-0/0/1
- interface나 logical unit를 disable, 실질적으로 administratively disabling 을 하는 효과(=shutdown)
host#set ge-0/0/1 disable (host#show ge-0/0/1 (인터페이스 disable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