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OS Architecture 이해하기
JUNOS Architecture 이해 하기
1. Hardware Architecture
- Interface module: 실제 인터페이스 제공
- PFE(Packet Forwarding Engine):실제 Packet에 대한 포워딩을 수행하는 ASIC
- Switch Fabric: PFE간 Traffic을 전달하는 역할 수행
- RE(Routing Engine): 장비 및 Protocol 관리를 담당
- CB(Contorol Board): RE와 다른 Component의 연결을 담당
1) Local PFE Traffic
- Interface로 들어오는 트래픽은 PFE로 전달
- PFE는 자신이 가진 Forwarding table을 참조해서 packet을 처리
2) PFE를 건너가는 Traffic
- PFE를 건너가는 Traffic은 Switch Fabric을 통해서 전송됨.
- 일반적으로 라우터/스위치의 traffic 처리용량(BPS)는 Switch Fabric의 처리용량의 합이며,
Traffic 처리 성능(PPS)는 PFE의 처리성능의 합.
3) Forwarding Table
- RE는 Routing table을 기반으로 Forwarding table을 만들고 이를 PFE로 전달 함.
- PFE는 Forwarding table을 기반으로 hardware적으로 packet forwarding 을 수행 함.
- 사용자 traffic은 RE를 경유하지 않음.
4) 그 외 (QoS, Filter, Accounting, Munticast ...)
- 기본적인 forwarding 이외의 추가적인 기능들도 PFE를 통해서 구현.
- 추가적인 기능들을 사용하더라도 성능이나 안정성의 영향이 없음.
* Separation of Control & Forwarding
* 제어부 보호를 위한 Architecture
- Control plane과 forwarding plane의 엄격한 구분
: DoS 공격등 장비에 부하를 주는 트래픽 발생시에도 안전한 Control이 가능.
Filter 및 rate limit을 통해서 control plane 보호.
트래픽 폭주나 공격시에도 filter 설정이 자유로움 - 수천개의 filter를 line rate로 처리 1
Routing engien에 부하가 걸린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트래픽 포워딩 수행.
- 물리적으로 어떤 포트에서 손실없이 전달 가능한 최대 속도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