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Hyper-V

Network

jk.jeong 2017. 7. 24. 00:02

Network

 

- Hyper-V나 다른 가상화 기술은 가상화 기술 내 가상 스위치를 생성해서 여기에 가상 컴퓨터 NIC에 연결되는 구조. (가상의 NIC이 실제 NIC을 통해 스위치에 연결되는 형태가 아님)

 

1. 가상 스위치 관리자

1) 외부: Hyper-V 호스트를 넘어 다른 호스트나 외부 네트워크와 교신하기 위한 외부 형태의 가상 스위치.

2) 내부: 호스트 내 가상 컴퓨터 간 가상 컴퓨터와 Hyper-V 호스트만 교신 가능한 형태의 네트워크

3) 개인: 호스트 내 가상 컴퓨터 간만 교신 가능한 네트워크

 

2. 가상 스위치

- NIC 속성: 일반적인 네트워크 카드 속성의 체크 박스가 해제되고 'Hyper-V 확장 가능 가상 스위치' 만 체크되어 있음.

- Hyper-V 호스트에 대해 가상 스위치와 연결한 후 관련된 네트워크 설정은 무조건 vEthernet에서 구성해야 함.

- 개인용으로 설정된 가상 스위치는 호스트와 교신이 필요 없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호스토용 가상 NIC이 생성되지 않음. 내부용으로 설정된 가상 스위치는 가상 컴퓨터와 해당 호스트 간의 교신을 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호스트에 가상 NIC이 생성. 해당 가상 NIC은 외부 네트워크와 교신을 할 수 없는 구조!

* 네트워크 카드 명명 규칙을 가지자 (p-physical, v-virtual 등으로 구분)

- NIC 팀 구성: Windows 2012 부터 기본 제공, 하드웨어적으로 NIC팀이 된 형태를 다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하면 안됨.

 

3. VLAN

- 스위치 포트에 구분자를 지정하는 기술. 802.1Q

- Hyper-V 의 가상 스위치는 VLAN ID를 구분해서 동일한 VLAN ID 간 교신, VLAN ID가 부여되지 않은 가상 컴퓨터 간의 교신을 모두 처리해 주며 별도의 스위치에 VLAN ID 구성을 개별 포트에 하지 않더라도 가상 컴퓨터의 VLAN ID를 스위치에 반영하는 형태로 구성.

- VLAN ID 2를 가진 가상 컴퓨터와 VLAN ID 3을 가진 가상 컴퓨터는 통신되지 않음.

- 실제 스위치에도 VLAN ID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어야 가상 스위치에서도 처리.

- Windows Server 2008 R2까지 가상 스위치 기본 설정은 엑세스 모드. 2012부터는 트렁크 모드가 기본. 




4. Hyper-V 네트워크 성능


- Hyper-V에서 가상 스위치를 생성하고 가상 컴퓨터와 통신하는 기본 형태. I/O 가상화

- 가상 컴퓨터 내 Synthetic NIC가 제공되고 이 처리가 VMBUS를 통해 부모 파티션에 전달 됨. 전달된 부모 파티션의 신호는 실제 하드웨어도 전달.

- Hyper-V 내 가상 스위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고, 여러 가상 컴퓨터가 가상 스위치를 사용하면 성능 이슈가 발생. 성능 저하는 소프트웨어적으로 NIC 하드웨어 가상화를 처리하고 있기 때문.


1) SR-IOV

- Single Root I/O Virtualization. NIC에 대한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

- 가상 컴튜퍼에서 직접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받아 교신을 하드웨어와 바로 처리를 할 수 있게 해줌.

- 가상 컴퓨터에서 실제 NIC으로 인지할 수 있는 가상 기능(VF)을 제공.가상 컴퓨터는 VF를 제공 받아 실제 NIC으로 네트워크 처리를 전달. 전달된 네트워크 처리는 실제 NIC의 큐에서 순서에 따라 처리되기 때문에 Hyper-V 가상 스위치에 네트워크 연결 처리를 할 때 연결성 부분만 처리하면 됨.

- 실제 신호 전달에 대한 부분은 일일이 제어하지 않아도 됨.

- 큐가 하나 있는 NIC을 SR-IOV를 지원한다고 하며 다수의 큐를 제공하는 것은 MR-IOV

- Get-NetAdapterSriov 로 확인

- 가상 스위치 SR-IOV 사용

=> SR-IOV 사용 옵션은 생성 후에는 변경 불가. 잘못 구성 시 가상 스위치 재 생성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