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OS Architecture
I. JUNOS Basic & Configuration
1. 접속
- Console 접속: 9600bps, data bit 8, parity none, stop bit 1, flow control none
- 서비스: telnet, ssh, ftp, web(http/https)
- 사용자 계정: 다수의 사용자 계정 생성, 'class'를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 권한 부여, command history 지원, 대소문자구분, [tab],[space] 명령어 자동 완성.
- 콘솔 케이블 연결:" 'root' 계정으로 로그인, 초기 패스워드 없음.
root% cli #root 계정으로 접속 시는 shell mode로 접속 됨. cli 명령으로 CLI mode로 접속.
root> configure #Operation mode
root# set ? #Configuration mode
- root 계정 접속은? 콘솔을 통해서만 가능, 리모트 접속을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 관리자 계정 생성.
최초 config 변경 적용 시 root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를 반드시 입력.
2. CLI Modes
- Operation mode: Software, network 상태, router hardware에 대한 모니터링 및 트러블슈팅을 하는 몯,
- Configuration mode: Interface, routing protocol, user access, system hardware 관련 설정 등 장비 전반에 관한 Configuration을 하는 모드
3. 인터페이스 상태 간략하게 확인
>show interface terse
4. 실시간 인터페이스 트래픽 모니터링
5. system reboot , shutdown
- system rebooting : > request system reboot
- system halt : > request system halt (both-routing-engine)
- 특정 hardware 모듈 on/off/restart : request chassis ...
6. Active and Candidate Configuration
- Config를 적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commit을 해야 함.
- Active configuration: 현재 동작하고 있는 config , Flash에 저장된 config (boot up config)
- Candidate configuration : 관리자가 변경하고 있는 config, commit하면 active config가 됨.
7. Configuration Statement Hierarchy
- CLI에서의 설정 명령은 일반적으로 한줄로 입력
host#set system services web-management http port 8080
- Configuration file은 {}를 이용한 형태로 보여줌.
- 변경한 내용이 문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확인 : commit check
- 변경된 설정을 임시로 active configuration으로 적용 : commit confirmed 1
- rollback (rollback 0) : candidate / rollback n : n번째 이전의 active configuration loading
- run : configuration mode에서 operation mode CLI 명령을 수행.
- rename : 사용자가 정의한 값들은 rename을 이용해서 변경 가능 함.
- deactivate : config 상의 해당 명령 또는 하위 계위를 무시하도록 함.
- disable : 인터페이스를 administratively disable 하는 명령.
* system
- login : admin user에 대한 정의
- root-authentication : root password 정의
- host-name : host-name 정의
- service : 해당 장비에 접속할 수 있는 service 정의
- syslog, time-zone 등
* chassis
- chassis 등 hardware 관련 설정
* class-of-service
- QoS관련 설정
* firewall
- stateless filter (ACL) 설정
- 타 설정과 연계하여 적용되는 트래픽에 대한 정의
* forwarding-option
- load-balancing, sampling 등 정의
* interface
- interface 정의
* policy-option
- routing 관련한 정책 정의(community,policy-statement 등)
* protocol
- routing protocol 정의
* routing-instance
- virtual routing 관련 정의
* routing-option
- routing protocol이 아닌 protocol independent routing 관련 정의
- static
- router-id, autonomous-system 등
'IT > JUN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w Control (0) | 2020.07.23 |
---|---|
2. JUNOS Architecture - 네전따 (0) | 2014.05.15 |
JUNOS Architecture 이해하기 (0) | 2014.03.26 |